Skip to content

미래를 위한 나눔, 함께하는 대한민국

Sharing Hope, Sharing Future

> 수원국으로서의 역사

수원국으로서의 역사

우리나라와 ODA

우리나라는 오랜 원조 수원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. 한국전쟁으로 인한 폐허 속에서 최빈국이었던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집중적인 원조를 바탕으로 경제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. 특히,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정책에 따른 적극적 외자도입은 고도성장의 요인이 되었습니다. 이러한 우리나라의 성장 과정은 ODA를 활용한 경제·사회발전의 좋은 모델로 국제사회에서 인식되고 있습니다.

수원국으로서의역사, 전후복구와 무상원조 : 긴급구호 중심(1945-1961), 1945년 미국의 행정구호원조, 1950년 UN의 민간구호 및 재건원조, 1953년 미국의 경제부흥원조, 1958년 국립의료원 설립, 미 원조양곡 부산입항 하역작업 (1957년), 유엔 한국재건단(UNKRA) 구호물자 전달 (1959년) 경제성장과 유상원조 : 개발차관 중심(1962-2000),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(KIST) 설립, 1970년 경부고속도로 완공, 1973년 포항제철 준공, 1976년 대전직업훈련원, 한백창원직업훈련원 설립, 1997년 IMF 구제금융 신청, 2000년 DAC 수원국 명단 제외, 서울-수원간 경부고속도로 기공식(1968년), 포항제철